난삭재료 가공의 기본
- 전문가 제언
-
○ 절삭가공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난삭재의 절삭은 예상치 못한 공구손상이 갑자기 발생하거나 공구수명이 짧아져서 안정된 절삭가공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자동화 라인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자동화 라인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생산 시스템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기할 수가 없게 된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길은 난삭재의 재료특성과 트러블 현상과의 관계, 난삭재 가공에 적합한 최신의 절삭공구류, 트러블 요인, 공구 손상의 내용, 신소재를 채용한 난삭재의 절삭공구 데이터 등을 면밀히 연구 검토하여 피삭재, 공구 및 공작기계 등 3가지가 부문에 공통적으로 만족하는 최대공약수를 찾아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티탄 합금의 용착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삭, 드릴, 엔드밀 가공 등에 주로 BN을 첨가한 바인더리스 cBN 공구를 이용하여 부품을 가공하고 있으며, 기타 난삭재의 절삭가공 능률 향상을 위하여 질소(N)를 첨가한 TiN, AlN의 다층 코팅 절삭공구를 이용하는 것이 우수한 경도와 고온에서 내산화성 등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것으로 검토된다. 또한 앞으로도 새로운 코팅재료로 한 난삭재용 공구재료를 개발 사용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최근에 발달된 표면처리 기술은 특수 절삭공구 표면에 코팅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표면처리의 대표적인 예가 세라믹 박막 코팅이며, 이 코팅 방법에는 기상증착법, 융체분무법, 용융염 침투법, 용액법 등이 있다. 최근 새로 개발된 방법으로 모재위에 박막을 형성시켜 내마멸성, 내마찰성을 극대화시킨 다이아몬드 상 카본(DLC: Diamond Like Carbon)막 형성법도 개발되었다.
? DLC는 경도가 높고 표면이 매끄러운 저마찰계수(0.1)이며, 특히 알루미늄, 동합금 등과 같은 연질금속 가공 시 금형 및 치공구의 보호는 물론 피가공물의 융착 등의 문제가 적어 품질 향상, 공구 재연마 주기의 연장 등으로 생산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저자
- Usuki, Hir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50(5)
- 잡지명
- ツ―ルエンジニア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