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 산업용 로봇을 위한 액추에이터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부족과 인간공학적인(ergonomics) 작업환경 개선 등 제조업의 현안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생산공정의 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자동화에 가장 유용한 도구로 산업용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 산업용 로봇은 인간이 수행하기 힘든 3D환경(위험하고, 더럽고, 힘든 작업)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동차 용접, 도장공정 등에 본격적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 기존로봇의 동작과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인간과 동등한 운동능력을 가지고 인간처럼 유연한 로봇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로봇에는 대표적으로 7축 로봇과 두 팔 로봇 등이 있다. 차세대 로봇을 실현하기 위해 서보모터, 감속기, 컨트롤러, 센서 등 핵심부품의 자립기반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그 핵심부품 중 하나인 액추에이터의 개발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설명하였다.

○ 지난 3월 국내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로봇산업 5개년 기본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주 내용은 2013년 로봇 3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2018년 로봇기술을 선도하는 비전과 발전전략을 담고 있다. 5년간 1조원을 투자하여 2013년까지 국내 로봇시장을 4조원 규모로 성장시키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13%까지 확대해나갈 전망이다.

○ 로봇 사용면에서 세계 5위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로봇시장이 성숙되고 있지만 대부분 해외로부터 수입한 로봇을 사용하고 있는 주요 원인은 핵심기술 확보 부재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모터와 드라이버, 동력 전달장치의 국산화율은 40%미만이며 감속기와 액추에이터는 95%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산학연이 협력하여 로봇용 핵심부품과 로봇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반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저자
okahisa manab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9
권(호)
53(7)
잡지명
機械設計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74~78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