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저작권 관리 장치 및 기법

전문가 제언
○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DRM)는 암호기술을 기반으로 웹을 통해 유통되는 각종 디지털 콘텐츠의 안정적 분배와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사진, 음악, 동영상 등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와 무단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했다. 초기의 DRM 기술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음악, 동영상, 전자책 등과 같은 유료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DRM 기술은 최근 모바일, 기업문서 보안, 디지털 방송 등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콘텐츠 생산?관리?유통, 사용료 부과, 결제대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개념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 현재 디지털 콘텐츠의 상품가치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DRM 시장 역시 동반하여 큰 폭으로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가 산업 전 분야에 적용되면서 DRM 기술도 무선망, 위성망 등 다양한 통신망이나 가전 및 통신기기와 융합되며 복합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 DRM 관련 제품의 국내시장 규모는 2008년도에는 2007년도 매출액 대비 6.2% 증가한 약 376억 원 정도이다. 국내 DRM 시장은 대기업 중심의 급속한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국제 표준인 공통평가 기준에 의한 DRM 제품 인증제도의 정착에 따라 해외 DRM 시장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도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 본 발명은 기존의 DRM 기술의 문제점인 실시간 장치 인증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국내 유관 기업에서 심도 있는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저자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83869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6
분석자
고*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