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카올린 담체의 산화티탄 광촉매 복합물 개발
- 전문가 제언
-
○ 광촉매(photocatalyst)는 태양광이나 형광 등의 자외선(UV)을 조사하면 태양전지의 원리처럼 음전기를 가진 전자와 양전기를 가진 정공(hole; h+)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 정공은 특히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수산화기(OH radical)를 생성하여 살균, 항균, 수질 정화, 냄새 제거,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탁월하다.
○ 광촉매의 종류는 anatase형 이산화티탄 이외에도 CdS, ZnO계 및 NbO계 등이 있다. 전이금속이 첨가된 Zn0.9Me0.1O의 ZnO계와 K4Nb6O17의 나이오베이트계가 광촉매 정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 현재 국내의 광촉매 시장은 형성 단계로 광촉매 시장 규모를 정확히 추정할 수는 없으나 광촉매로 그 효과를 대체할 수 있는 시장(항균, 탈취제 시장) 규모만 보아도 2010년 2조 5천억 원 정도(2003년 산업자원부 발표 자료)이며, 2004년 5월 29일 국회에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통과됨에 따라 국내 시장도 빠른 속도로 광촉매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 시멘트 업계(한일 시멘트)는 고품질, 고성능 시멘트 제조의 일환으로 사회적 well-being이라 할 수 있는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기능성을 가진 광촉매 시멘트 및 항균 시멘트 등 친환경 신제품을 개발 중이다. 친환경 신제품은 항균, 대기 정화, 스모그 저감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환경 문제를 저감시키고, 거주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 특허는 시멘트 원료에 3.3wt.% TiO2와 메타카올린을 첨가하여 처리한 시멘트를 가지고 97%의 고효율 광촉매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에서 알루미나 또는 일반 고령토를 사용해서는 70% 이내의 낮은 효율을 얻었다.
○ 광촉매 시멘트가 국내에서도 조속히 개발되어 거의 실내에 국한된 광촉매 용도를 건물 외벽, 포장도로, 포장블록 등에도 사용함으로써 도시 대기환경 정화에도 기여할 날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R. Ancora; M. Borsa; L. Cassa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064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