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경퇴화에서 Toll-유사 수용체

전문가 제언
○ Toll-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는 선천성 면역계에서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이것에 반응하여 신호전달을 개시하는 수용체이다. TLR의 구조는 루신이 풍부한 세포바깥 영역과 한 개의 막관통 나선 그리고 세포 안쪽에 신호변환에서 기능하는 TIR(Toll-interleukin 1 receptor)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TLR는 β 세포, 대식세포와 같은 다양한 면역 관련 세포와 상피세포, 내피세포와 같은 비면역 세포에서 발현되며 최근에는 대부분의 세포에서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TLR의 기능은 다양하며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골격대사, 신경발생 및 뇌 발달 등 비면역반응 과정에도 관여한다.

○ 뇌의 microglia, astrocytes, oligodendrocytes 및 neurons는 모두 TLR를 발현하며 세포에 따라 그 종류는 조금씩 차이가 있고 중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종류도 다르다. TLR의 기능은 면역반응이 주이고 그 밖에 세포형태에 따라 세포자살과 뇌의 발달에 관여한다. 아직 뇌에서 TLR 기능은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다.

○ 노화는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한편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감소한다. 또한, TLR 유전자 전사는 연세에 따라 크게 변하는데, 이 수용체들이 정상적 노화와 연세에 관련된 질병 둘 다에 관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TLR는 허혈성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등 퇴화적 뇌질환에 관여하며 TLR의 종류는 병에 따라 다르고 또한 작용메커니즘도 다르다. 앞으로 상세한 메커니즘이 밝혀지면 병의 원인이 밝혀질 것이고 TLR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된다.

○ TLR가 미생물 감염에 반응할 뿐만 아니라 신경의 기능장애에 결정적으로 관여한다. TLR는 신경 퇴화적 질병에 깊이 관여하기 때문에 신호전달을 증진시키거나 억제하여 질병의 진전을 조정할 수 있다. 생체의 거의 모든 세포가 TLR를 발현하고 또한 신호전달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투약의 종류, 양, 시기 등은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저자
Eitan Okun,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59
잡지명
Brain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8~292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