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섭취와 제2형 당뇨병 예방
- 전문가 제언
-
○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은 주로 사람의 제2의 황금기에 발병하는 질환으로서 개인의 생활습관 양식 특히 식습관과 많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에너지 함유량이 풍부한 서양식 식사유형을 선호하여 오랜 기간 유지한 생활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아울러 음식의 맛과 지방 함량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양면성이 있기에 식사는 항상 우리에게 선택의 슬기로움과 어느 정도의 고통을 요구하고 있다.
○ 본고의 고찰에서 보듯이 불포화지방산 섭취량을 풍부한 음식섭취패턴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유용한 방안이며 아울러 심혈관 관련 질환발병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서구식 식단과는 다르게 우리의 식단은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섭취량이 높아서 혈액 내 중성지질 함량이 대체로 매우 높은 경향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 습관에서 유래되는 만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 정도에 알맞은 만큼의 탄수화물 섭취량을 유지함도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 한편으로는 경제적 풍요로움의 결과는 가장 먼저 섭취하는 음식패턴이 고 에너지 함유한 식품으로의 전환되며 아울러 인간의 육체적 활동 빈도가 감소된다는 점이다. 우리도 과거의 보릿고개가 있었던 시절의 섬유소가 풍부하고 에너지 함유량이 낮았던 옛날의 식단이 아마도 현대인이 추구하는 건강한 식단이었다는 점은 시대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그리고 현재는 우리의 식품공전에서 진실성의 문제로 허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향후 우리의 식단 역학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 건강에 이상적인 지방산 비율이 함유된 이른바 혼합 식용유 제품의 허용도 고려해 봄직 하다.
- 저자
- Ulf Riseru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48
- 잡지명
- Progress in Lipid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4~51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