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안렌즈 카메라를 사용한 재해감시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환경 및 재해감시를 위해서는 위성에 의한 정보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CCTV 영상 감시 시스템도 재난 확인 및 감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위성은 원거리로 인한 영상 분해능의 한계가 있으며, CCTV는 한정된 위치에서의 시각범위 등으로 인해 광범하고 상세한 실시간 정보를 취득하기 어렵다.
○ 지진 등 대규모 재해가 발생했을 시에 피해상황을 광범위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현장의 저고도 상공에서 촬영한 실시간 영상정보가 매우 유용하다. 광역에 걸친 신속한 영상정보 취득을 목적으로 고정밀 어안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와 무선조종에 의한 모형 헬기를 사용한 영상촬영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어안 렌즈 영상은 일반 렌즈의 결상방식에 의한 영상과는 달리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광각효과에 따라 영상이 더욱 밀집되기 때문에 관측자가 정확한 거리와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투시투영 변환을 실시하여 영상의 회전을 제거한 화상 표시방법을 제안하였다.
○ 어안 렌즈는 180°라는 극히 넓은 화각을 가지며 이미지의 왜곡과 원근감이 과장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특수한 목적 외에 일반 촬영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무선조종 헬리콥터와 같은 무인 항공기를 사용한 재해감시 시스템은 지진, 화재 등 갑작스런 재난의 발생시 실시간 정보를 유효적절하게 이용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언급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및 데이터 처리시간의 지연 등은 전자기술의 발달로 해소될 것으로 보이며 초고해상도 카메라의 등장으로 차후 이와 같은 무인 항공사진 촬영에 의한 재해감시 시스템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Atsushi ITAKURA, Hideo MAKINO, Wataru HIOKI, Ikuo ISHII, Hideki KOMAGATA, Daisuke WAKATS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33(6)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81~86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