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PEG-PAA 공중합체로부터 지능형 폴리머 미셀의 제조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의/약학 분야에 나노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점증하면서 치료와 진단을 위한 많은 나노기술-기반 새로운 개념들이 개발되고 타당성이 검토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암의 진단과 치료에서 나노기술에 기반을 둔 약물운반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암의 치료, 진단, 예방 방법에 근본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 약물운반체의 개발에서 지난 10년간 폴리머-약물 접합체와 폴리머 미셀이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면서 몇몇 제제가 임상시험 중이다. 특히 폴리머 미셀은 제조가 쉬우며 경제적인 이점 이외에도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안정성, 투여하기에 좋은 입자크기, 약물을 내포하는 소수성 코어에 화학적 변환이 가능하고 미셀의 표면에 표적추적 분자를 접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 폴리머 미셀 코어의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한 약물 포획 기능 외에 전하를 가진 폴리머 미셀과 거대분자 간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PIC(polyion complex) 미셀은 유전자와 siRNA의 전달체로서도 유망한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 폴리머 미셀의 고유 특성과 다양한 화학적 변환으로 표적추적 분자의 접합, 약물전달 환경 개선, 광선역학요법, 진단용 시약 같은 화학요법과는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진 약물들을 함께 접합하여 현저한 상승효과와 다중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운반 시스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Younsoo Bae, Kazunori Katao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61
- 잡지명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68~784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