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신료의 특징과 시장동향
- 전문가 제언
-
○ 국민소득 향상에 따라 외식산업과 가공식품의 발전으로 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할 수 있는 것은 “맛의 연금술사”라는 향신료 이용 기술이 뒷받침됨으로써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요리나 가공식품의 출현이 가능하게 되어 점점 새로운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 햄, 소시지, 피자, 햄버거, 핫도그, 프라이드치킨, 시푸드 요리, 도넛, 커리 라이스, 만두, 어묵 등 다양한 가공식품이나 요리에는 각각 제품에 맞는 향신료나 조미료가 필수 재료들이기 때문에 앞으로 웰빙 시대에 맞는 유기농 스파이스나 허브도 출현될 것이다.
○ 향신료나 허브의 생리활성 기능이 해명되어 건강 효과가 주목되어 관련 상품도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는 조미료로서의 향신료적인 것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면을 다루었다.
○ 우리나라에서 미래 성장 동력 산업의 하나로 선정된 정부의 정책에 맞게 한식의 세계화로 우리의 먹을거리를 국제식품으로 발전시키고 각 민족의 에스닉푸드(ethnic food) 개발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특수한 spice와 condiment를 연구하여 이를 뒷받침하고 소비자들에게 “향신료의 올바른 이해”와 개발 및 계몽 활동도 적극 실시하여 국민들의 풍요롭고 안정한 식생활에 공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koukyu waryo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2(5)
- 잡지명
- 食品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3~60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