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특수 면역조절능력을 갖는 프로바이오틱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전문가 제언
○ Lactobacillus는 요구르트, 치즈, 김치, 사워크라우트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많이 나타나는 GRAS균이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약 140여종이나 되는 Lcatobacillus는 L. acidophilus, L. casei, L. delbrueckii, L. plantarum 그룹으로 분류되며 이 중 L. plantarum 그룹은 식물성 유산균이다. 식물성 유산균은 육식을 하는 서구인보다 채식을 하는 동양인 특히 한국인에게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 현재 상용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은 L. casei Shirota, L. rhamnosus GG, L. rhamnosus HN001, L. plantarum 299v, L. acidophilus LA1, L. acidophilus NCFB 1748, L. gasseri ADH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유산균인 L. plantarum(F35, F47)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이미 공인된 L. plantarum 299v와 비교하였으며, L. plantarum을 단독 배양하는 것보다는 두 균주(Lp3547)를 혼합 배양함으로써 프로바이틱 효능을 증가시켰음을 강조하고 있다.

○ 프로바이오틱은 감염 억제, 면역계 촉진, 식품의 영양가 증진 등 여러 기전으로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으며 각 작용기전은 균주에 따라 다르다. 국내에는 내염, 내산성, 내담즙성, 장부착력, 항생제 내성, 소염활성, 결장암 세포와 미생물증식 억제활성, 콜레스테롤 저하와 관련된 특허가 기능성식품, 의약품, 동물 및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으로 등록?공고되었다. 프로바이오틱은 목적에 맞는 균주의 선발이 가장 중요하며 건강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생체실험의 모델개발도 필요하다.

○ 건강인의 장 점막에는 L. rhamnosus, L. paracasei, L. plantarum의 유산균이 많다. 특히 L. plantarum은 대장 내 카르복시산 농도를 증가시켜 장 점막의 세균 총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숙주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고 한다. 최근 김치에서 프로바이오틱으로 개발 가능한 L. plantarum KC21과 L. plantarum JK-01이 분리?보고되었다. 김치에는 L. plantarum 이외에 많은 식물성 유산균이 들어 있다. 이들 유산균을 분리하여 특성을 확인하면 새로운 기능의 프로바이오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CARINSA. CREACIONES AROMATICAS INDUSTRALES, S. 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WO2009006847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2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