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를 이용한 광전소자의 수명연장기술
- 전문가 제언
-
○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은 1995년 LCD 양산 이후 LCD/PDP/OLED 등 전 분야에 걸쳐 세계 1위로 성장하였으며, 2007년도 수출 385억 달러, 세계시장 점유율 38% 등 반도체/자동차와 함께 국내 3대 수출 주력 기간산업으로 급부상한 미래 유망기술이다. 그러나 3대 디스플레이 패널에 들어가는 53개 핵심 부품?소재 가운데 20개 품목의 국산화율은 약 30%로 나타나 이에 대한 원천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 세계 OLED 시장규모는 2006년 약 5억 달러에서 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연평균 65~90% 성장을 지속하여 2010년에는 약 4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OLED 시장은 PMOLED에서 2007년 이후부터는 AMOLED 위주로 성장하고 있다. PMOLED는 초기 휴대폰 등의 메인 및 서브 디스플레이 외부 창에 주로 이용되다가, 모바일기기의 다종다양화에 따라 점차 AMOLED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SDI와 LG디스플레이의 최근 OLED 관련 개발동향을 보면, 삼성SDI는 Stainless Stell 기판에 4.1인치 LTPS 기반 Flexible OLED에 주력하여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를 이용한 5.6인치 Flexible AMOLED를 개발하였다. LG디스플레이는 OTFT 기반의 12×12 AMOLED를 개발하였고, Metal Foil 기판에 Top Emission 방식으로 4인치 qVGA급 Flexible AMOLED를 개발하였으며, Metal Foil 기판에 a-Si TFT를 이용하여 14.1인치 칼라 EPD를 개발하였다.
○ 2000~2006년까지 OLED 특허동향을 보면 한국특허 887건 중 한국(662건)/미국/일본/대만 순이며 주요 출원인은 삼성SDI 219건/LG필립스 133건/LG전자 76건/kodak 69건 순이다. 일본특허 582건 중 일본 331건(57%)/미국 24%/한국, 대만 8% 순이며 주요 출원인은 EASTMAN KODAK 96건/SEIKO EPSON 48건/SHARP 34건/SEMICONDUCTOR ENERGY LAB 29건 순으로 나타났다. 1991~2002년까지 OLED 고분자 재료의 한국특허 308건 중 한국인 출원 201건, 외국인 출원 107건이며 주요 출원인은 LG전자 40건/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삼성SDI/이데미쓰 고산 순으로 나타났다.
- 저자
-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098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35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