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침습 기질의 인체 모니터링
- 전문가 제언
-
○ 인체 모니터링 기술은 환경 유해물질이나 산업(작업환경) 유해물질로부터 사람의 건강을 보존?보호하여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수단이다. 인간은 자연환경과 작업환경 중에서 일하고 생활하면서 각자의 삶을 지속해 간다.
○ 자연환경 및 산업환경 중 유해물질은 피부나 흡입 및 섭취를 통해 물과 대기의 환경매질을 이용해 인체로 유입되고 있지만, 유입되는 경로와 매질을 완전히 제어 및 차단할 수 없으므로 체내에 유입된 후 유해물질을 모니터링 하여 인간의 건강을 보전해야 한다.
○ 인체 모니터링 기술에 블랙홀이 잠재되어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추적 불가능한 무흔적의 실종사건은 유기용제나 환경호르몬에 의한 신경장애물질의 침습에 기인하는 결과이다. 생활환경이나 작업환경 중에서 유기용제나 환경호르몬에 침습되어 알코올에 취한 듯 대뇌 활동의 혼란이나 장애로 인해 공간적 방향성을 상실하여 복잡다단한 산업사회 장애물과 각종의 설비 및 수송기기에 의해 신체적 피해를 입어 무흔적 실종되는 것이다.
○ 현재의 인체 모니터링 기술은 아주 특정적인 중금속이나 유해케미컬의 체내 검출 및 대사산물의 검출에 한정되어 있다. 보편적이고 통상적인 유기용제나 환경호르몬 물질 등에 대한 인체 모니터링의 기술은 극히 초보적 발전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 인체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케미컬은 먼저 혈액을 통해 간에서 걸러져 각 기관으로 보급되고, 체내 이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신장에서 마지막으로 걸러져 배출된다. 인체 모니터링의 측면에서 간과 신장의 대사산물에 대한 공격적 연구가 필요하다.
○ 인체 모니터링 기술에서 유기용제나 환경호르몬의 대뇌 침습에 대한 연구는 아직 개시되지 않은 단계이다. 현대 산업사회의 무흔적 실종사건을 해결하는 근원적 사회복지 및 미래지향적 사회보전 차원에서 국가 차원의 연구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저자
- Marta Esteban, Argelia Cast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8~449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