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사회 구축을 위한 바이오플라스틱과 신 생물학

전문가 제언
○ 급등하는 석유 가격과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로 인하여 석유화학산업은 재생자원으로부터 고품질 플라스틱을 제조하도록 강요받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처음으로 시도된 가능성은 미생물로부터 천연이면서 생분해성을 갖는 고분자의 생산이었다. 그러나 이들 천연 고분자는 합성 고분자가 갖는 바람직한 장점을 갖지 못하고, 탄소는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생분해성 자체는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 최근 들어 이상적인 해결책은 재생 식물자원을 미생물 발효를 통해 석유화학산업에서 현재 적용되는 동일한 단량체를 생산해 내는 것이다. 이 경우 식물 탄소자원에 고정된 이산화탄소가 안정한 플라스틱으로 포함시키게 되고, 이는 오래 동안 그 속에 고정시켜 둠으로써 이산화탄소 공해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단량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생합성 경로를 창조하기 위해 유기체를 개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이는 현대 사회의 가장 큰 도전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재생가능자원으로부터 고품질의 고분자를 생산하게 될 것이다. 본 문헌에서는 세포를 지속가능한 화학반응기로 변환이 가능케 하는 분자생물학과 새로운 지식?기술의 최근 진보와 발전에 대하여 살펴본다.

○ 중단기적으로 바이오플라스틱 수요가 괄목할 만하게 증가되기 위해서는 산업계와 사회적 활동 가운데 “지속가능 개념(sustainability concept)”에 관한 긍정적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대중에게 바이오플라스틱 제품을 채택함에 따른 이점을 충분히 이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환경 비 친화적 제품에 대한 거래에 제약을 가할 필요가 있다.

○ 장기적으로는 획기적인 혁신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신기술에는 유전자 개질 미생물, 셀룰로오스 가수분해, 새로운 촉매 공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올레핀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이오 중간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저자
Johana Rincones, Ane F. Zeidler, Maria Carolina B. Grassi, Marcelo F. Carazzolle, Goncalo A. G. Perei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9
잡지명
Polymer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5~10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