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식파급효과 측정: 특허, 라이선스 및 논문발표와 혁신확산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지식파급효과 측정: 특허, 라이선스 및 논문발표와 혁신확산’이라는 주제 하에 서론, 혁신과 지식확산 측정수단으로서의 특허, 지식확산 측정수단으로서 기술라이선스와 논문발표, 데이터와 방법론, 결론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식확산과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직접 특허인용, 2단계 특허인용, 직접 논문인용, 라이선스에 초점을 맞추면서 각 측정수단의 기능 및 한계를 연구하였다.

○ rDNA특허인용, 논문인용 및 라이선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지식보급의 다양한 측정수단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결과는 상이한 지표에 크기 및 시기에서 극적인 차이를 보여 준다. 이 중에서 특허데이터는 발명자가 특허하기로 선택한 그러한 발명만을 계산하므로 발명활동의 전체 범위를 과소평가할 수 있다. 기업들은 종종 발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영업비밀과 같은 대안적 메커니즘을 선택한다. 다른 한편으로 특허는 발명과 연결되어 있지 혁신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혁신을 과잉 평가할 수도 있다.

○ 이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인 지식 파급효과의 측정수단인 직접 특허인용은 가장 적은 수의 기관을 포괄하고 있으며, 두 단계 특허인용은 가장 많은 수의 기관과 기업체를 포괄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라이선스기관을 생략하고 있다. 논문인용은 대학과 공공 연구기관을 포괄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라이선스는 실제 제품의 신뢰할 만한 측정수단을 제공하고 논문인용이나 직접 특허인용보다 더 많은 기관을 포괄한다.

○ 지식 파급효과의 측정에는 중요한 도전이 있다. 특허인용 분석이 공통의 실증적 접근법인 반면에 그 효율성과 잠재적 편견에 관하여 문제가 지속된다. 지식확산의 다양한 측정수단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 글은 동일한 기술에 관한 라이선스와 논문발표에 대하여 재결합 DNA(recombinant DNA: rDNA) 기술을 둘러싸고 있는 특허데이터를 비교한다. 이러한 측정수단의 평가는 각 측정수단의 생략과 과잉표현 양자의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조직의 역사와 위치에 연결된 잠재적 편견을 밝힌다. 그 결과는 지식보급의 연구는 다양한 지표를 끌어들임으로써 극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저자
Andrew J. Nel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38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994~1005
분석자
고*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