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폴리머 나노복합물의 특징과 용도
- 전문가 제언
-
○ 재료과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 하나는 다기능재료의 개발이다. 이들 재료는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 2가지 이상이 동시에 강화되므로 2가지 이상의 종래의 재료를 한 번에 대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세계 규모로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는 폴리머/클레이계 나노복합재료도 다기능 복합재료로 현재까지 기술적으로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 그러나 나노복합물 재료의 세계 시장은 극적인 변화는 없으며 천천히 발전되고 있다. 나일론6/클레이 나노복합물은 엔진 블록 부근의 금속부품 대체 재료로서 경량화를 이루었으며 현재 고내충격성과 저선팽창계수를 모두 가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나노복합물이 개발되었고 전선 피복재료나 난연성의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물 등이 개발되고 있다.
○ 초임계 CO2를 사용한 나노복합물 발포체의 제조는 주목해야 할 연구 분야이다. 특히 나노필러가 핵 형성효과를 발현하는 셀(cell)의 수밀도를 격증시킨다는 보고가 있은 이후 연구는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일부 한정된 조건에서 발포 성형을 하면 셀 형성의 초기 성장과정에서 밀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고 초미세(나노)구조가 형성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 고갈자원인 석유의 대체 재료로서 바이오매스 폴리머를 사용하는 나노복합물의 연구개발은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많이 기대가 되고 있다. 이미 바이오매스 폴리머로서의 지위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는 폴리젖산(PLA)은 생체 적합성이 아주 우수한 고분자 재료로서 재생의료의 스캐폴드나 약물 수송, 세포 분리막 까지 새로운 다기능 재료로서 기대되고 있다. 본고는 초임계 CO2를 이용하는 나노복합재료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현황을 소개한 것으로 이 분야의 최신 동향 파악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 저자
- Okamoto Mas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57(7)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7~61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