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의약품 개발: 산업계-학계 동반관계를 위한 새로운 모델

전문가 제언
○ 제약 산업을 위시한 연구개발 분야에서 세계의 여러 나라는 한정된 연구기금으로 최대의 개발성과를 달성하고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분석물의 저자는 대학 소속의 연구자 위치에서 제약 산업에서 연구 수행 기관들 간의 역할에 대해서 현황을 분석하고 나름대로의 개혁안을 제시하고 있다.

○ 현재 신약의 개발 성과는 정체되어 있으며 개발을 위한 연구비는 급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대학과 산업계는 별개로 의약 개발 분야에 관한 연구 수행을 지속하고 있다. 따라서 의약품 분야의 역할 분담과 연구비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 전통적으로 대학은 상대적으로 관계 분야의 순수 연구에 주력하고 있어 온 반면에 산업계는 후보물질에 대한 직접적인 약품개발 사업과 허가 그리고 시장화에 주력해오고 있다. 연구의 지원은 주로 산업계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공 시의 지적 소유권과 로열티는 산업계로 돌아가는 형태를 취해오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지속은 획기적인 의약품의 개발을 위해서 요구되는 “lead" 물질의 개발이 어렵다.

○ 따라서 분석물의 저자는 대학과 산업계의 보다 긴밀한 협력과 성공 시의 특혜에 대한 공유를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대학에 의한 의약품 연구를 담당할 때 생기는 문제들, 예를 들면 연구로부터 생기는 논문의 발간과 발표의 범위에 대해서 협력과 조정을 요구하고 있다.

○ 저자는 주로 영국에서의 현황을 기술하고 있으나 실제 우리나라에서도 이 문제는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국내의 연구비는 이를 평가하는 각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나 효율성과 성공도 등에서 외국의 사례에서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의약품 개발 수행 과제를 위한 연구자 평가에서 논문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분야에 실제 일한 경력, 성공적인 연구 수행의 가능성이 참조되어야 하며 1인당 주어지는 연구비가 너무 많은 것도 연구 자체에 경주되는 노력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자
Cathy J. Tralau-Stewa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14(1)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5~10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