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관절염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성
- 전문가 제언
-
○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통증을 수반하는 관절이나 운동기관의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일군의 질환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의학 분야에서는 이 용어 앞에 형용사를 붙여 염증성 류마티스, 급성 관절 류마티스 등으로 사용한다. 오늘날에는 주로 연골세포에 장애가 일어나는 만성 관절 류마티스로 그 병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RA는 IgG와 류마티스인자(rheumatoid factor: RF)로 알려진 IgG 자가항체(autoantibody)가 면역복합체를 만들어 관절의 활액막에 축적되어 활액막이나 연골의 파괴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자가면역반응은 바이러스나 화학물질 등 외부인자의 침입이나 대사이상과 같은 내인적 요소에 의해 발생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작용으로 조직 파괴로 발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심혈관질환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산업화 국가에서 사망 원인의 수위를 차지하며 미국에서는 매년 400만 명이 발병하고 10만 명이 사망한다. 가장 일반적인 질환은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으로 심장 근육을 손상시켜 심장마비가 되거나 뇌 조직을 손상시켜 뇌졸중이 된다. 여러 가지 발병요인 중 흡연이 위험 목록 최상위에 올라 있으며 다른 요인들로는 비만, 당뇨 등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은 대표적인 심혈관질환의 하나로 피부 낭종의 일종인 아테롬을 닮은 회황백색의 구상(丘狀)의 병변을 형성한다. 이것은 혈장 성분이 침윤된 동맥 내막에 뮤코다당류와 중성지방 등이 침착하여 만들어진다.
○ RA는 새로운 독립적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로 당뇨병의 위험성을 능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 지혈증이나 고혈압, 대사증후군과 같은 전통적인 다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도 RA에서 부분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A에서 진행되는 염증반응은 죽상동맥경화증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RA 환자에서 이들 위험인자는 별도로 괸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ichael T. Nurmohame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
- 잡지명
- Autoimmunit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63~667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