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 산업의 최신 동향

전문가 제언
○ 1930년대 나일론 발명을 시작으로 많은 합성 고분자 재료가 개발되었으며 이들은 무기재료에 비하여 가볍고 강인하며 여러 가지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섬유, 일용품 및 산업용 자재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인류의 생활을 풍요롭고 편리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플라스틱 재료는 화학적 성질을 가진 재료이면서도 이용 측면에서 보면 화학적이기 보다는 기계적, 역학적, 열적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용도에 따른 플라스틱 특성의 고기능화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범용 플라스틱의 생산동향을 분석하고 각각의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BS 수지, 염화비닐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열경화성인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들 수지와 관련된 최근의 기술 토픽과 내열성, 투명성, 장섬유 강화수지 등 플라스틱의 고성능화 및 고기능화의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환경, 안전문제와 관련하여 유럽의 RoHS 법령, 폐자동차에 관련된 ELV 법령, ExTEND, REACH 및 화학물질 배출파악촉진법(PRTR)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산업은 그 동안 괄목할 성장을 보여 선진국과 견줄 수 있는 수준에까지 도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반적인 원료합성이나 응용개발 분야는 아직 취약한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한편으로는 원료를 공급하는 석유자원 보유국의 자체생산과 중국 등과 같은 수출시장에서 자급화하려는 상황에 의해 플라스틱 시장이 잠식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특화를 위한 과감한 투자와 연구개발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 플라스틱 분야에 있어서 최근의 개발동향을 보면, 새로운 폴리머의 개발은 거의 보이지 않으며 폴리머끼리의 얼로이를 통한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던가, 용도에 맞는 그레이드 개발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국내 관련기업에서는 참고를 해야 할 것이다.
저자
Kikuo Tak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60(4)
잡지명
プラスチ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7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