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최신 동향과 앞으로의 과제

전문가 제언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1956년 금속을 대체하기 위해 미국의 DuPont사가 폴리아세탈의 중합체인 Derlin을 개발하여 1960년부터 생산을 시작한 이래 계속 성장되어 왔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구조용 및 기계부품 재료로 적합한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주로 금속을 대체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 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 정보기기 등 공업적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분류하며, 특히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5대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부르고 있다.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1964연 폴리이미드가 개발된 것을 시작으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액정 폴리에스테르(LCP) 등도 개발되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세계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수요동향과 각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의 생산 및 시장동향을 다루고 있으며, 또한 최근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관련된 토픽을 소개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은 그 동안 괄목할 성장을 보여 선진국과 견줄 수 있는 수준에까지 도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반적인 원료합성이나 응용개발 분야는 아직 취약한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우리나라 관련기업의 경우 현재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 자체는 성숙기술이므로 앞으로 용도에 맞는 그레이드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며, 최근 유럽에 있어서 RoHS 지령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자
Mitsuru Yoko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60(4)
잡지명
プラスチ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16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