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방법
- 전문가 제언
-
○ 항암제 치료법의 향상에 의해 암 치료제는 급속한 진보를 거듭해 왔다. 그러나 암의 약물응답성의 저하, 즉 약제내성의 문제는 완전치유를 곤란하게 하는 임상적으로 최대 문제로 되어있다. 항암제가 작용하는 대사경로는 암세포에 특이한 것이 아니고 정상세포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선택적 독성(selective toxicity)때문에 임상적으로 화학요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therapeutic index가 클수록 정상조직에 대한 독성은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다.
○ 세포사멸(apoptosis)에 대한 저항성이 암으로 진행되는데 있어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떠오른 이후로 종양세포들이 정상세포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세포사멸의 운명을 피하도록 이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유망한 항암제 치료전략으로 제시되어 왔다. 최근 Cancer Cell 학술지에서 John Reed 연구진은 세포사멸에 있어 저분자량 억제제가 종양세포의 불멸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함으로서 이 접근법의 타당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인간의 암을 초래하는 발암성 tyrosine kinases는 30가지 이상이며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과 진성 적혈구증가증(PV) 역시 발암성 tyrosine kinases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ML을 초래하는 kinase는 BCR-ABL이며 PV를 초래하는 kinase는 JAK-2 이다. 이 kinase 들은 정상세포를 암화시킬 뿐만 아니라 암화된 세포가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도와준다.
○ 이 kinase들이 Bcl-xL의 탈아미드화 경로를 차단한다는 것이 최근 밝혀졌는데 탈아미드화가 인간세포의 암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이는 발암유전자의 작용방식을 이해하고 미래의 암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CDK10 및 그 프로모터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서 호르몬요법의 저항성을 억제하고 항암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을 기초로 새로운 안전한 항암제가 개발된다면 맞춤형 항암제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CANCER RES INST ROYAL, BREAKTHROUGH BREAST CANCER, IORNS ELIZABETH JANE, LORD CHRISTOPHER JAMES, ASHWORTH ALAN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6317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2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