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레르기질환 발증을 통제하는 Th2 세포 분화의 Epigenetics

전문가 제언
○ 기관지천식 등의 알레르기질환의 발증과 병태형성에서는 2형의 면역반응이 관계되고 있으며 2형의 면역반응은 면역반응을 주관하는 2형 Helper-T(Th2)세포에 의해서 발증하게 되는 염증반응으로서, Immuno Globulin E Antibody(IgE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와 염증이나 과민증을 유발하는 호산구와 히스타민 등의 화학전달물질을 방출하는 비만세포와 호염기구 등이 관계하고 있다.

○ Th2세포는 메모리 Th2세포로서 분화하여 장기간 생체 내에서 존재하며 알레르기반응의 발증으로 만성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들 일련의 분화는 후생유전학적(Epigenetic)인 메커니즘에 의해서 통제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근래 동정된 Th17은 세포외 병원체에 대해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염증이나 자기면역성질환 발증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어떤 Th세포도 naive T세포에서 항원자극을 받아서 분화하게 된다. 지금까지 그의 분자메커니즘에 관해서 서브세트 특이적인 Cytokine 발현을 통제하는 전사인자의 동정과 그의 기능해석이 정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크다.

○ 면역반응을 주로 관제하는 Helper-T(Th)세포는 생산되는 Cytokine이나 전사인자의 발현패턴을 지표로 하여 적어도 Th1, Th2, Th17, iTreg의 4가지의 서브세트로 분류하게 된다. 이들의 세포는 어느 것이나 민감한 CD4+T세포로부터 분화하게 되며 이 분화는 후생유전학적인 메커니즘으로서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CD4+ T세포의 서브세트 사이의 균형의 기울기에 의해서 여러 가지 면역질환이 발증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Th2세포의 과잉된 활성화는 알레르기질환의 발증이나 병태형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메커니즘의 규명은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동기가 마련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asakatsu Yamashit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8(6)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60~56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