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순환수 모니터링 장치로서의 형광분석 가능성

전문가 제언
○ 물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하수 혹은 폐수를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중수도 같은 순환수 계통을 설치하는데, 상수도와 순환수 계통의 교차접속에 의해 상수도가 순환수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온라인 감시가 필요하며, 온라인 감시에는 고속, 고감도 및 고선택성의 측정기술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감시기술을 개선하고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형광분광계(fluorescence spectroscopy) 기술과 앞으로의 과제를 리뷰 하였다.

○ 상수도와 중수도에서 감시 항목(예;TOC의 농도와 특징)의 차이가 아주 적더라도 상수도가 오염되는지 여부를 검출해야 하므로 종래 기술을 대체할 새로운 감시기술이 시급히 필요하다. 자외선 분광기술을 포함한 종래 방법에 비하여 형광분광기술은 고감도 및 고선택도 덕분에 감시수단으로써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또 형광분광법은 신속하고 사전 시약준비가 불필요하므로 수질, 하천 및 수처리 공정에서의 오염 감시수단으로써 적용할 가능성이 커 학계의 관심을 받아 왔다.

○ 우리나라에서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경제활동의 증가에 따라 물 사용량은 늘어나는 반면, 한정된 수자원으로 인하여 향후 지역적인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수자원의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그동안 버려졌던 빗물과 하수처리수 등의 순환이용을 촉진하고자 물의 순환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현재 우리나라의 중수도 시설은 204개소 있으며, 처리용량이 1,883,086 m3/일이다.

○ 앞으로 물 재이용 시설이 계속 증가할 것이므로 순환수 계통과 상수도 계통이 교차접속 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오염을 철저히 원격감시 하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부에서는 수질원격 감시체제를 폐수처리 계통에 주로 구축하고 있으나 상수도 관망에도 수질원격 감시체제 특히 형광분광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학계에서도 상수도와 중수도의 교차접속을 우려하여 예방책과 감시대책을 보고한 바 있으며, 하천수의 형광감시기술에 대하여도 연구보고하고 있음은 시의적절하며 바람직한 추세이다.
저자
R.K. Henderson, A. Baker, K.R. Murphy, A. Hambly, R.M. Stuetz, S.J. Kh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3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63~881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