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연 경질 폴리우레탄 폼 및 난연제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난연 경질 폴리우레탄폼(PU Foam)을 위한 배합, 이 배합에 적합한 난연 첨가제 및 이 배합으로 제조한 난연 PU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제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cyclic phosphonates)와 ⓑisopropylated triphenyl phosphate esters 혼합물의 적정한 배합으로 조성되어 있다. 본 조성으로 만든 경질 PU폼은 CAL 117 A 및 D(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Part A and D)의 난연성 요구조건을 만족한다.
○ 본 특허출원의 청구사항은 21개 항이며 3개의 독립사항으로 되어 있다. 요점은 위 난연제의 조성을 이용한 경질 PU폼, 이 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 폼으로 가공한 제품에 대한 것이다. 위의 ⓐ와 ⓑ는 공히 일반적으로 알려진 난연 첨가제이지만 국제특허 조사보고에 의하면 본 발명과 특히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선행특허와 문헌은 없다.
○ 본 특허출원은 연질 PU폼에 대한 특허출원(WO 2009/021036)과 동시에 제출된 것이다. 난연제 배합도 서로 동일하다. 그런데 청구사항에서 연질 PU폼에서는 배합을 포함하였으나 경질 PU폼(본 특허출원)에서는 포함하지 않았다. PU폼으로 묶어서 출원할 수도 있었을 것인데 분리해서 출원하였다. 국제특허 조사보고에 의하면 연질 PU폼의 경우에는 선행기술이 있어 특허가 허여되기 어려울 것이지만 경질 PU폼의 경우에는 선행기술이 없으므로 허여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이유에서 분리출원 한 것이 아닐까 추측한다.
○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 중의 인 함량이 8~12wt%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기술하였다. 난연제에서의 인 함량은 ⓑ에서는 6~9wt%이며 ⓐ에서는 20.7~21.7wt%이다. 일반적으로 인의 함량이 높으면 난연성이 높아지므로 ⓐ난연제 함량을 높일수록 난연 효과는 증진될 것이다. 그러나 조성비율은 다른 여건이나 물성의 균형을 맞출 필요성에서 정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 본문에서 경질 PU폼 제조에 TDI가 유용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경질 PU폼에 많이 쓰이는 이소시아네이트는 PMDI(polymeric MDI)이다.
- 저자
- ALBEMARLE CORP.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2103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