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된 상호인증기법
- 전문가 제언
-
○ ID/패스워드 절도는 미국인 5명 중 1명이 당하는 미국에서 가장 급속하게 늘어나는 범죄이다. 미국인들은 이러한 ID/패스워드 절도 사건의 피해를 회복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5,000달러와 200시간을 소비한다.
○ ID/패스워드를 도난당하면, 개인 신용에 수년간 문제가 발생하거나 재산상의 거대한 손실을 당할 수 있으며, 심지어 절도범이 훔친 ID/패스워드를 악용하여 저지른 범죄 때문에 체포될 수도 있다. 더욱더 심각한 사실은, 이러한 ID/패스워드 범죄가 국가 안보와 관련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테러리스트들이 훔친 신분증을 테러 활동 지원에 이용하고 있다.
○ 사용자 식별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 공공기관 및 기업의 중요 기반시설에 대한 출입자 통제, 전자정부 및 전자상거래 등 전자거래에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보호 기술이다.
○ 사용자 식별기법은 3가지 질문 즉, 「패스워드 또는 PIN을 알고 있는가?」, 「스마트카드 또는 토큰 등을 갖고 있는가?」, 「지문 또는 홍채 등 신체적 특성은 어떠한가?」에 대한 답변에 의해 네트워크와 시스템 및 시설에 대한 출입자의 정당성을 판단한다.
○ 현재 사용자 식별을 위해, 서버가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ID의 진위성을 확인하는 일방향으로 인증과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일방향 식별은 MITM(Man-In-The Middle), 파밍(Pharming) 등 피싱의 변형된 기법에 의한 아이디 절도행위는 차단할 수 없다.
○ 이 발명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각 상대방을 공정하게 인증하는 상호 인증을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사용자 식별기능 구현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EZMCOM,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271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8
- 분석자
- 고*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