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에서의 기능성 식품소재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최근의 건강지향 추세에 수반하여 맛과 영양 외에 새로운 기능으로 생체조절 효과를 갖는 식품과 식품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음식물에서 생체기능을 가진 약효를 기대하는 것은 약선꽃 음식의약과 음식은 근원이 같다는 사상으로 생약학 분야에서는 상식으로 되어 있다.
○ 중국의학에서는 홍화, 괴화, 신이 등과 같은 식물의 꽃 부분을 약용으로 한 생약이 여러 가지에 이용되고 있다. 약용화는 방제 중에 배제될 뿐만 아니라 화차로써 음료에 이용되고 있는 것 외에 화장품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 다화의 생체기능으로는 항비만, 항알레르기, 항당뇨병, 위 배출억제 등의 작용이 있다. 신규성분인 Floratheasaponin 등의 구조가 확인되었는데, 혈중의 중성지질 상승의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임상치료에서 다화엑기스의 투여로 체중감소의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 관화육종용은 강장, 보정약, 면역증강작용, 항노화작용 등 장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당체인 Kankanoside와 아실화올리고당 Kankanose 등을 발견과 동시에 혈관확장 활성성분으로 규명하였다.
○ 양강근은 방향성건위, 진통, 진토약으로서 위통, 소화불량 및 항궤양작용을 하는 약물로 사용되며 항종양활성, 크산틴옥시다제 저해활성 등의 생물활성과 최근에는 다발성 골수종에 유망소재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에탄올유발 위 점막 손상에서 내인성 보호인자로 프로스타글란딘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오늘날 일본 약국방 등에 등재되어 있는 생약 중에도 식용되는 것이 많고 일상의 음식물에도 약효가 전승되어 오고 있다. 생체기능이 기대되는 음식물을 약용식품이라 하며 그 성분에는 부작용의 염려가 적고, 항상성을 조장하는 바와 같이 병의 예방과 건강 유지 또는 치유촉진과 재발 방지 등의 역할에 다면적인 식품소재로써의 역할을 기대한다.
- 저자
- Massayuki Yoshik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29(1)
- 잡지명
- 食品加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1~58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