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공계대학원의 교육에 관한 국제비교조사
- 전문가 제언
-
○ 본 조사는 일본의 연구형 대학 이공계대학원의 교육에 대해서 실태와 과제를 파악하고, 미국과 영국 등 해외 사례와 비교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 최근 이공계대학원을 둘러싼 환경변화는 주로 학생의 질ㆍ양의 변화, 대학원의 글로벌화, 학위 취득자의 진로 다양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개선방향은 의욕이나 능력이 높고 질 좋은 학생의 확보, 학위 취득자의 폭넓은 지식ㆍ스킬이나 국제성을 습득할 수 있도록 대학조직 지도체제의 정비, 그리고 대학원 교육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교육평가의 활용 및 교육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립하는 것 등이 제기되고 있다.
○ 일본은 대학원 교육에 있어 고도 전문지식을 갖는 인재육성을 위해 각 대학이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뛰어난 능력과 의욕을 갖는 학생의 확보와 함께 교원이 교육활동에 주력할 수 있도록 사무업무의 효율화를 통해 매력 있는 대학원 교육을 실현하여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 우리나라 석ㆍ박사의 진로 및 취업상황을 보면 2008년(교육과학기술부) 기준 일반대학원의 석사는 취업률 77.8%, 진학률 12.9%, 그리고 박사는 취업률 91.5% 및 진학률 1.4%로 나타나고 있어 박사학위 취득자가 오히려 취직이 안 되는 일본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이공계 인력의 질적 하락과 양적 감소로 이공계위기를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이공계 박사의 활용 현황을 보면 이공계박사의 선호가 대학(66%)과 공공연구기관(13.9%)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작 필요한 민간기업(20%)의 박사인력은 현저히 부족한 입장이어서 우수한 인재가 기업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경쟁력을 키울 창조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원 교육의 적절한 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NISTE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잡지명
- NISTEP Report No. 12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41
- 분석자
- 오*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