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형 및 별모양 폴리글리시돌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의학용 재료의 합성과 분해성

전문가 제언
○ 주사슬의 반복단위, 말단이나 곁사슬에 친수성 기능기를 가지고 있는 친수성 고분자는 생명과학이나 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카르복실기, 아미노기는 물론 히드록실기를 곁사슬에 가지고 있는 단독중합체나 공중합체는 친수성이나 pH와 이온강도는 물론 온도에 의해서 선형이나 분지 고분자의 용해성에 영향을 주며 히드로겔과 같은 가교된 고분자의 팽윤성에 영향을 준다.

○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N,N-다메틸아크릴아미드), 다당류, 폴리(에틸렌글리콜)와 폴리글리시돌 등은 매우 중요한 친수성 고분자들이다. 특히 폴리(에틸렌옥시드)는 친수성고분자이며 단백질에 대하여 거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소수성 고분자의 표면의 성질을 개질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생체 내에 임플란트 되는 바이오 의학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친수성 기능기의 수를 늘려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고분자의 아키텍처를 선형에서 별모양 고분자 등의 다분지 구조로 바꾸어 주는 것이 요청된다.

○ 폴리글리시돌은 물에 용해되며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어 합성고분자의 주사슬에 폴리글리시돌을 결합시키면 바이오 모방 고분자를 얻을 수 있으며 또 이를 이용하여 초분자 구조를 형성시키면 온도, pH와 이온강도 등의 외부 자극에 응답하는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아키텍처를 가진 폴리글리시돌은 글리시돌의 음이온 또는 양이온 중합을 통하여 합성된다.

○ 폴리글리시돌은 바이오 의학용 재료로 별모양의 PEG를 대체할 수 있는 모든 구조적 전제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PEO에서 기대할 수 없는 기능의 확장이 가능한 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는 폴리글리시돌의 합성과 이의 바이오 활성 및 생분해에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어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의학용 재료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HELMUT KEU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7(13)
잡지명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209~3231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