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쌀가루의 특징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최근 사회 경제 문화의 구조가 변화함에 따라서 밥, 떡 등의 주식 또는 전통적인 식품에 주로 이용되던 쌀의 소비가 급격히 감소하고, 서구식의 편의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쌀의 합리적인 소비와 새로운 형태로서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국제 곡물 값이 크게 오른 데다 쌀이 웰빙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식품?외식업체들이 밀가루에서 쌀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쌀의 가격경쟁력이 낮고 소비자의 입맛이 이미 밀가루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쌀의 특성을 잘 살려 고급 제품으로 차별화하여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국가의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쌀을 섭취하고 있으며, 대개는 아시아에서 주식으로 이용이 되고 있는데, 보통 하루 2 내지 3회 섭취가 되고 있다. 그 예로서 미얀마에서는 한 사람당 연평균 195㎏의 쌀을 섭취하고 있으나, 유럽의 경우에는 단지 3㎏만이 섭취되고 있다.

○ 현재 쌀 전분이 사용되고 있는 식품의 형태로는 유아식, 압출 성형 제품, 수프, 드레싱 및 육제품을 들 수 있다. 쌀 전분은 작은 미립과 입안에서의 부드러운 맛과 느낌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쌀 전분은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식품 원료로서 영국에서는 5년 안에 쌀 전분 시장이 2배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쌀을 섭취하는 사람들의 경우 쌀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엽산, 칼륨 및 철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더 많으며 쌀을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체중을 보다 잘 관리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어, 쌀가루와 쌀 전분 같은 쌀 제품의 활용을 통해 쌀의 부가가치의 향상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저자
Kanda desu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52(12)
잡지명
食品工業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2~46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