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의 폐농약 폐기사업
- 전문가 제언
-
○ 우리의 농촌에서도 농약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우려된다. 농촌의 들에는 농약병이 무분별하게 버려져 있고 제초제도 뚜렷한 사용목적 없이 뿌려지고 있다. 본 원고에서도 그리스의 농약병 처리실태를 보고하고 있지만 우리의 농촌상황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용하고 난 후의 농약병처리에 대하여 농민들에게 교육이 필요하고 제초제 사용에 대하여도 제초제가 가져오는 환경오염에 대하여 알려줄 필요가 있다. 레이첼 카슨은 1962년에 침묵의 봄을 출판하여 무분별한 제초제 및 유기염소계 농약의 폐해를 알려 환경운동을 일으킨 계기가 된바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87년부터 한국자원공사에서 농촌을 대상으로 농약빈병수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빈병 회수에 따르는 보상금의 액수가 ㎏당 몇 백 원의 수준으로서 실제로 금전적 보상을 바라고 빈병을 되돌려 주는 예는 많지 않다. 오히려 농민들에게 농약빈병이 환경에 가져오는 위험성과 환경보존의 필요성을 알려 농약빈병을 회수해야 하는 필요성을 알려주는 것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제초제 사용 또한 마찬가지로서 제초제가 가져오는 환경유해성을 알려주어야 한다.
○ 토양과 환경을 오염시키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우리의 농업도 친환경유기농업을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다. 친환경 유기농업은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건강한 토양과 비옥도를 유지하여서 토양에서 유기체가 상호의존하며 스스로 번식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농업체계를 말하는 것으로서 생태계 전체를 완전하게 관리하는 총체적 생산체계(holistic production management)이다.
- 저자
- Israel D. Haylamicheal, Mohamed A. Dalvi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67~673
- 분석자
- 길*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