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서 방출된 전자파에 의한 정보누설의 대책기술
- 전문가 제언
-
○ 전자파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이동통신, 방송 등에 사용하고 있지만, 전자기기, 통신기기, PC 등에서 비의도적으로 방출되는 누설 전자파가 항상 존재한다. 전자기기 등은 이와 같은 전자파 환경에 놓여 있으므로 불필요하고 해로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PC 모니터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누설 전자파에 의해 중요한 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의 누설현상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누설 전자파에 의한 공격패턴은 하드웨어에 의한 물리적 공격이나 네트워크에 의한 소프트웨어에 의한 공격과는 달리 비파괴적, 비접근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 미국, 유럽 등은 1950년대부터 전자기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누설 전자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EMPEST 규격을 제정하여 관련 기술을 엄격하게 보호하고 있다. 1999년에 Anderson, Kuhn 등은 누설 전자파에 의한 키보드 입력정보 누설현상을 수동위협, 능동위협으로 분류하여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 현재 PC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규격화된 것이다. 대표적 화면모드는 픽셀 또는 화소 단위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라스터 스캔 방식)를 채택하고 있다.
○ PC키보드 누설 전자파의 크기는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규격인 CISPR22의 방해 허용기준 이하지만 정보누설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TEMPEST 규격과 같은 누설 전자파에 의한 정보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규격 및 관련 기술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복사성 방출(radiated emission)에 대한 누설 취약성 분석, 중요한 정보의 누설방지 기술에 관한 연구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Yasnao SUZYK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8
- 권(호)
- 20(8)
- 잡지명
- NTT技術ジァ-ナ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1~15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