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과학적인가, 상업적인가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개발도상국들의 국가차원의 방역 계획으로 폐렴구균 복합백신(conjugated vaccine)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들이 지면과 언론을 통해 많이 언급되고 있다. 과학적인 데이터들도 많이 인용되고 있지만 상업적인 목적이 더 큰 것이 분명하다.
○ 개발도상국들에서 폐렴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ⅰ)질병의 심각성에 대해 잘 알려져 있다. ⅱ)전염성 폐렴을 일으키는 폐렴구균들의 혈청형에 대해 상세히 알려져 있다. ⅲ)예방을 효과적으로 하면 폐렴의 원인, 특히 뇌수막염이나 홍역을 예방할 수 있다. ⅳ)바이러스성을 포함한 어린이 폐렴의 발병 요인이 알려져 있다. ⅴ)폐렴균들의 항생제 내성이 강해지고 있다. ⅵ)개인위생이나 공중위생, 건강관리 등으로는 폐렴의 질병발생률이나 사망률을 크게 개선시키지 못한다.
○ 영아는 전염성 폐렴(IPD)에 대해 가장 취약하며 정상적인 백신 접종을 통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백신 접종은 어린 연령대에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영아에게 23가 폐렴구균 다당류 백신은 권고되지 않기 때문에 접종할 수 없다.
○ 7가 폐렴구균 혼합백신(PCV-7)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에서 발생되는 전염성 폐렴의 혈청형 중 일부에만 일치된다. PCV-7은 선진국 아이들을 기준으로 제조되었다. 그래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혈청형의 90%, 호주에서는 78%, 유럽에서는 75%를 방어한다. 그러나 아프리카에서는 67%, 남아메리카에서는 63%, 아시아에서는 43%, 인도에서는 53%로 그 방어율이 낮다.
○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에서 소아용 폐렴구균 백신은 필요하지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백신들 중에는 적합한 것이 없다. 따라서 자국에 적합한 혈청형을 파악해서 자국 제조에 의한 맞춤식 백신을 만들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효과적이고 값도 저렴해지며 오래 지속되는 백신을 만들 수 있다. 현재로는 인도와 중국이 이러한 일을 감당해야 한다.
- 저자
- Joseph L. Mathew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7
- 잡지명
- Vac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247~4251
- 분석자
- 장*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