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겔과 글리세릴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품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의 립글로스의 광택유지, 실 현상 방지의 요점은 조성물의 손실각이 작을수록, 탄성탄성률이 점성탄성률보다 클수록 실 현상이 없다. 광택은 굴절률과 점도가 높은 오일을 사용하여야 광택이 좋다. 탄성률을 높이려면 조성물의 분자 간에 분자간력(수소결합, 반데르발스힘, π-π 스태킹, 금속배위결합)이 높아야 한다.
○ 특히 수소결합력을 이용하면 구조점성이 좋다. 본 발명에서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무로도 쓰이는 블록공중합체로서 스티렌의 벤젠고리의 π-π 스태킹에 의한 스티렌 블록의 클러스터링으로 물리적 가교로 구조점성을 나타낸다. 고분자의 분자량은 클수록 얽힘 밀도가 높아 탄성률을 높인다. 투명도를 높이려면 결정성 물질의 결정배열을 방해하거나 결정입자의 크기가 가시광선 파장 이하로 억제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 Iwase Cosfa Co.는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DP)와 (베헤닉애시드/에이코사디오익애시드 글리세린에스테르(GBE)를 오일겔화제로 그밖에 4종류의 오일을 사용하여 매끄러운 사용감의 립글로스를 개발하였다. 결정 형성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투명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 Iwase Cosfa Co.가 사용한 4종류의 오일은 수소첨가 폴리부텐, 폴리글리세롤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의 수소첨가로진산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린산옥틸도데실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이다. 동사는 오일겔의 굴절률이 1.48 부근일 때 특이한 투명영역임을 주장하였다. GBE는 소량으로 높은 강도가 얻어지고 미세한 결정을 구성하여 유제를 겔화시킨다.(http://www.cosfa.co.jp/cgi-bin)
○ DP는 왁스 등의 오일겔화제와 병용하면 왁스의 결정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나 겔 강도도 저하한다. DP와 GBE의 병용효과에서 DP비율이 높을 때는 왁스결정이 없었다. 5℃, 1개월에서도 결정을 형성하지 않고 오일겔을 형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외관이 투명한 오일겔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겔 강도의 감소도 적었다. DP와 GBE의 비율이 7:3일 때 굴절률 1.486~1.493이고 투명성이 우수한 영역이 확인되었다.
- 저자
- Chanel Parfums Beaute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7459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