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의 인용에 관한 인식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연구자의 인용에 관한 인식”이라는 주제 하에 서론, 설문조사, 응답자의 과학적 기여와 인용률에 관한 개념, 인용의 중요성에 관한 양가감정, 인용과 과학적 기여 간의 불일치, 가시적 역동성과 소멸, 인용률에 대한 영향, 결론으로 구성되었으며 과학자가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논문 인용에 관하여 집중 탐색하고 있으며 논문 인용과 과학적 기여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인용이 과학자들 간에 어떻게 인식되는가를 살펴본다. 설문지 조사에 기반하여 자주 인용되는 논문을 발간한 노르웨이 과학자들 간에 발견될 수 있는 인용에 관한 견해와 경험의 레포타르를 추적한다. 그들의 견해는 3가지 이슈를 둘러싸고 있다. 3가지 이슈는 논문의 질과 그 인용 역사 간의 관계, 가시성의 중요성과 상이한 종류의 요인들이 인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시스템의 공정성이다.
○ 발표논문과 인용지표의 사용이 증가하는 반면에, 그들의 적용에 관하여 여전히 논쟁이 있다. 많은 연구가 수년 동안 인용 분석을 비판하면서 발표되었다. 오늘날 그러한 측정에 대한 반대는 비판적 논문이 여전히 발표되고 있을지라도 약화된 것 같이 생각된다. van der Meulen에 따르면 네덜란드에서는 연구평가에 있어서 이러한 데이터의 추가적 가치에 대하여 거의 분쟁이 없다.
○ 현재의 상황은 단순한 측정수단과, 보다 용이한 평가방법론을 원하는 행정적 필요성과, 공정하고 종합적인 과학적 정성평가를 원하는 연구자의 요구 간의 긴장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과학계의 일부 견해는 인용신화를 나타내는 것 같으나 인용에 관하여 과학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라질 것이다. 여하튼 인용은 기본적 한계를 갖고 있으므로 과학행정가와 정책결정자들이 신중하게 행동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Dag W. Aksnes, Arie Ri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38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895~905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