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대한 기후논쟁

전문가 제언
○ 기후의 위협에 대한 논쟁의 반대진영 또한 목소리가 크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가 발표한 2015년의 세계경향에 따르면 일부 기존협약을 실행한다고 하더라도 2015년까지 그 협약이 목표로 삼았던 환경훼손을 되돌릴 수는 없을 것이고 지구온난화는 국제사회를 어려움에 빠뜨릴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기후변화와 테러행위 간에 있을지 모르는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문제도 지적하고 있다. 9.11테러 직전 발표한 논문에서 Elizabeth Chalecki는 자연자원이 귀해지고 위험에 노출되면서 이는 테러리스트에게 점점 더 좋은 목표물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자연자원의 파괴는 더 많은 죽음과 재산피해, 정치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기후변화가 테러보다도 안보에 더 큰 위협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지난 20여년 이상 기후변화의 영향은 계속해서 과학계와 정치계의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기후변화의 크기나 속도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기후변화 지지자들은 기후변화 척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가 충분하다고 보는 반면에 회의론자들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중요 변화를 예측하는 과학모델 설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현재 CO2는 선진국이 훨씬 많이 배출하지만 개발도상국 입장은 개발이 최우선 순위에 있다. 따라서 식량, 에너지, 고용기회 및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적인 문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도상국가에서는 개발정책과 기후변화 전략을 통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기후변화 정책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모든 소속원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기본원리를 받아들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기후변화 지지자와 회의론자의 충돌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과학지식으로도 논쟁을 종결시키지는 못할 것이다. 문제는 경제나 정치이슈에 휘말리지 말고 건전한 논쟁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
B. S. Reddy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7(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97~3008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