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글리세린으로부터의 프로판디올의 합성

전문가 제언
○ 연료로 사용되는 이외로 세계 원유 생산의 약 4%는 플라스틱의 원료로 사용되고, 또 다른 4%는 이들의 제품 제조의 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산업은 급등하는 원유가격과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에 직면하고 있다. 게다가 화학적으로 합성된 플라스틱은 자연에 폐기되어졌을 때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대량으로 폐기되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게 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이들 문제의 해결책으로 등장하여 몇몇 플라스틱에 개발되었다.

○ 화학합성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대안으로서는 재생자원으로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것이다. 재생자원 플라스틱을 일반적으로 바이오플라스틱이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의 하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PHA(PolyHydroxyAlkanoate)와 같은 천연 고분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들 천연 고분자를 산업적으로 직접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 글리세린은 유지나 바이오디젤과 관련되어 생산되고 있다. 바이오디젤 생산 프로세스에서는 바이오디젤에 대하여 중량비로 약 10%의 글리세린이 부산물로 생성된다. 이 부산물 글리세린을 현재 충분하게 이용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폐기물로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글리세린을 유용하게 이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1,2-프로판디올(프로필렌 글리콜) 및 1,3-프로판디올로의 전환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고분자 자체를 미생물을 통하여 만드는 것보다 재생자원으로부터 에틸렌, 프로필렌, 프로판디올 등과 같이 석유화학 산업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단량체를 생성해 내는 미생물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더 매력적인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옥수수 전분이나 사탕수수 즙과 같은 재생자원으로부터 값싸게 얻은 에탄올의 효모 발효이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이 세계의 많은 화학회사들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도전과제의 하나가 되었다.
저자
Keiichi Tomishig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8
권(호)
31(11)
잡지명
ペトロテック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10~91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