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North Dakota의 개인주택 및 상업 규모의 분산형 풍력에너지

전문가 제언
○ 본고에서는 개인주택 규모 및 상업 규모 풍력터빈의 North Dakota 전력수요 충족 평가를 위하여 14개 부지에서 시간별 풍속을 1년간 측정하였다. 2004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의 평균 풍속은 장기 기후에 비하여 약간 낮은 값이라 본고에서 계산한 값은 이들 부지의 풍력발전 예측치보다 보수적이다.

○ 여기서는 각 부지의 풍황이 County(군)를 대표한다고 가정하고 가동률 20%(개인주택 규모) 및 35%(상업 규모)를 이용하여 군을 위하여 발전할 수 있는 전력량을 예측하고 이를 군에서 사용하는 전력 예측량과 비교하였다.

○ 결과는 개인주택 규모의 풍력터빈으로 풍속에 따라 이들 14개 군에서 연간 1인당 전력사용량의 90~165%를 공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인구가 가장 적은 군에서는 6기의 상업 규모의 풍력터빈으로 군의 연간 전력사용을 충당할 수 있고, 인구가 가장 많은 군에서는 69기의 풍력터빈이 필요하다.

○ 월별 전력공급 및 수요 평가에서 군 가구의 30%가 개인주택 규모의 풍력터빈을 설치하면 풍속이 낮을 때는 9~20%, 풍속이 높을 때는 13~29%의 월별 전력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개인주택 규모의 풍력터빈이 분산형 발전에 크게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의 경우에는 풍력개발에 앞서 장기간의 풍황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국가기관에서 전국적인 풍력발전의 타당성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재생에너지원으로 세계적으로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풍력발전이 가장 경쟁력 있는 대안이다. 우리나라의 산마루나 해안지대를 개발하면 상당한 풍력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Aaron Knoll, Katherine Klin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93~2500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