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노스코픽 형태제어 복합체의 자외선 차폐 특성

전문가 제언
○ 국내 화장품업계가 생산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주성분이 대부분 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이다. 화장품은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화장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화학재료는 의약품과 관련되는 각종 안전규정을 준수해야 하므로 한국식품의약안전청(KFDA)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또 화장품은 용액 중에 들어있는 무기물질의 분산성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미크론 단위 이하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품질 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화학재료 생산자는 일반 산업용 화학재료와 달리 입자 크기와 형상을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요소기술을 필요로 한다.

○ 우리나라의 화장품 업계는 기능성 화장품인 경우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기술 제휴선에서 추천하는 수입품에 주로 의존한다. 따라서 화장품용 재료를 국산화하기 위해서는 원료 생산자는 의약품 안전 규정과 품질수준을 맞추어야 하는 어려운 장벽을 넘어야 하고 특히 구매자 입장인 화장품 업계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이 분야의 시장이 협소하여 경제성을 가질 만한 생산 규모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 원천기술이 미흡하여 해외 시장을 목표로 생산?판매를 시도하기에는 품질과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시장 구조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

○ 최근에 자외선 차단제가 화장품 용도뿐만 아니라 식품 포장재, 의류, 기능성 유리 등 새로운 분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국내의 대학교 및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이 분야의 새로운 기술 발전이 기대된다.
저자
Chigusa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8
권(호)
55(4)
잡지명
粉體およぴ粉末冶金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53~258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