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조립시퀀스 문제 및 대책에 관한 고찰
- 전문가 제언
-
○ 프랑스 운영연구 및 의사결정지원협회(ROADEF : french society of operations research and assistance for the decision)는 산업분야에서 실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대상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운영연구 분야의 새로운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의 전문팀들이 참가하는 ROADEF 도전대회를 매 2년마다 개최한다.
○ 2005년 ROADEF 도전대회에는 르노(RENAULT) 자동차회사가 자동차 조립시퀀스에 관한 문제를 도전과제로 제시하였다. 르노공장은 주문생산 방식에 의해 6일 전 계획생산을 운영하고 있다. 딜러가 아니고 고객이 주문한 차를 생산하기 때문에 르노사는 여러 종류의 옵션차량을 고객요구 납기에 맞추어 조립순서를 결정하는 최적화한 자동차 조립시퀀스 알고리즘에 도전하기 위해 이 과제를 제시하였다.
○ 자동차 조립시퀀스 문제의 정확한 해법을 위한 접근방법에는 제약 프로그래밍(constraint programming)에 의해 제한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과 정수 프로그래밍(integer programming)에 의해 생산용량을 만족시키는 방법 그리고 최초 분지계획에 의해 자동차 조립시퀀스를 고려하는 분지한계법(branch and bound method)이 있다.
○ 완전하지는 않지만 신속하게 개략적인 최적의 해법을 찾을 수 있는 발견적 접근방법(heuristic approach)에는 탐욕적 방법(greedy approach), 국소 최적화탐색(local search approach),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개미집단 최적화방법(ant colony optimization)이 있다.
○ 국내 자동차제조사들도 조립시퀀스와 스케줄링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립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해법을 자체 개발하여 일부 적용하고 있다. 본문에 설명한 외국의 적용사례를 검토하고 우리 생산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수리계획법 등을 적용한 최적해법과 발견적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포함한 근사 최적 해를 구하는 방법들을 접목하여 생산능력을 증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hristine Solnon, Van Dat Cung , Alain Nguyen , Christian Artigu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8
- 권(호)
- 191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12~927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