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산업에서 유익한 대학-산업 간 연계의 형성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와인산업에 있어서 유익한 대학-산업 간 연계의 형성”을 주제로 하여 대표적인 와인 산업국인 칠레와 이태리에 초점을 맞추어 여러 가지 면에서 유사성 및 차이점을 지닌 두 국가의 클러스터에서의 대학-산업 간 연계를 분석하고, 대학-산업 간 연계의 형성과 대학과 연계된 기업에 의한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기술하면서 대학-산업간 연계의 촉진 및 유익한 효과를 위한 새로운 견해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어떤 대학-산업 간 연계는 지식보급의 큰 잠재력과 긍정적인 경제효과를 발생시키고, 대학은 경제발전 과정에서 점점 더 중요한 실행자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과 대학-산업 간 연계는 지역 또는 국가 차원에서 지식보급을 증대시키는 요인에 토대해야 하고, 대학이 산업과의 상호작용 및 산업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임무가 필요하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오늘날 기업의 지식기반은 유익한 대학-산업 간 연계를 추진시키는 주요 동력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대학의 직접적인 산업 관련이 증가되었고, 여러 나라에서는 대학-산업 간 네트워킹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취약한 대학이 산업문제의 해결자가 되기보다는 내부의 과학적 질을 향상시키도록 지원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이공계 대학교는 산학 연계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성이 결여되어 있고, 산학 연계 프로그램이 기업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혁신과 개발을 향상시켜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대학별 특성화 유형에 맞는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대학과 기업 간 연계 채널의 구축과 산학 연계 시스템을 강화시키는 제도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Elisa Giuliani, Valeria Arz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38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906~921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