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전지원의 긴급통보 서비스
- 전문가 제언
-
○ ITS는 인간과 도로 및 차량을 정보통신 기술이라는 매개체로 연결해 안전성의 향상, 수송효율의 향상, 쾌적성의 향상 및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으로, 사고 예방이나 피해감소 기능의 안전기능, 운행효율 향상이나 시설효율 향상 기능을 하는 교통흐름 원활기능, 정체저감이나 저공해화 기능을 하는 환경기능이 주류이다.
○ 도로교통 정보통신 시스템(VICS)은 주요도로에 설치된 비콘(Beacon: 노변 통신방식의 일종으로 교차로, 신호등에 적외선?RF 등의 전송장치를 부착해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과 자동차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연결시켜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차량 자동항법기술이 이에 해당한다.
○ 일본 NTT Tokomo, KDDI, Soft Bank Mobile 등은 2007년 4월부터 ‘긴급 위치 통보’를 실시하고 있다. 긴급 위치 통보는 휴대전화에서 긴급 통보가 발신되었을 때 접속된 발신 장소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긴급 통보 기관에 통지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총무성은 휴대 전화 등에서 긴급 통보 시 발신자의 위치 정보 통보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 모바일 WiMAX(IEEE 802.16) 규격은 IEEE로 표준화되고 있는 무선 통신의 표준 규격이다. 고정 통신용으로 2004년 6월 표준화되었다. WiMAX는 1대의 안테나로 반경 약 50㎞를 커버하고 최대 70Mbps의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리티를 지원하는 규격 IEEE802.16e-2005(모바일 WiMAX)가 2005년 12월에 표준화되었다.
○ 현재 일본에서는 총무성의 자문기관인 정보통신 심의회에서 2.5GHz대에 있어서 모바일 WiMAX의 기술적 조건을 검토 중이고, 검토 종료 후에 면허 방침의 책정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E액세스는 올해 7월에 모바일 WiMAX의 실험용 무선국 면허를 취득하고 실용화를 향한 기술 개발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검토하고 있고 미국 WiMAX 포럼의 주요 회원이 되어 표준화 활동에 공헌하고 있다
- 저자
- Akihiko 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3(2)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5~40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