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공정을 이용한 폐기물의 희유금속 회수기술
- 전문가 제언
-
○ 산업 첨단화로 인한 희유금속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제조공정의 고체폐기물이나 도금, 염색 등 폐액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재활용이나 재자원화, 에너지절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운동이 확산되고 있으나 회수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고 대부분 최종적으로 매립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나 휴대폰은 중고품상태로 외국에 수출되고 있어 희소자원이 국외로 방출되고 있다.
○ Ryo SASAI 등은 수열공정을 이용한 폐기물로부터 효율성이 높은 희유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 폐기물 발생극소화, 고체폐기물이나 폐수로부터 고부가가치의 희유금속을 함유하는 자원을 회수하고 청정한 수열공정기술을 적용하였다.
○ 수열공정은 비점이상의 고온과 증기압 이상의 고압에서 반응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액체의 열수는 기존의 산ㆍ알칼리 약품이나 상압의 물과는 크게 다르다. 그 특성으로서는 용매약품을 많이 쓰지 않고 설비가격이 저렴하며 폐기물의 용해나 가수분해, 산화환원 등 다양한 화학반응이 효율이 높은 기술이다.
○ 크롬도금 공정의 후처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도 안정화처리 등 중간처리 후에 관리형 매립지에 폐기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원고갈, 자원의 안정공급의 관점으로부터 생각하면 폐액 중에 함유된 이들 크롬을 폐기하지 않는 자원으로 회수하여 사용하려는 추세다.
○ 녹색성장 에너지절감, 자원리사이클링 정책이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레어메탈 자원이 부족한 국내에서는 도금이나 산업폐수에 함유된 유해원소의 자원회수와 재자원화는 국가 장래의 자원순환, 에너지 절감에 필수불가결한 중요한 과제이다. 산학관의 협조와 정책추진으로 해결해야 하고 자원 리사이클 순환시스템을 구축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Ryo SASAI,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44(5)
- 잡지명
- セラミ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7~402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