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인식용 장치와 모듈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NEDO에서는 2005년도에 RT 미들웨어와 로봇 엔진 플랫폼과의 정합성 및 로봇 엔진 플랫폼 쪽의 변경 필요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화상인식 모듈과 얼굴인식 모듈, 표정인식 모듈, 감정인식 모듈, 제스처 인식 모듈 등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로봇 엔진 플랫폼 및 RT 미들웨어 플랫폼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화상인식기술에는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는 소프트웨어 기술과 실시간의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하드웨어 기술이 필요하다. 화상인식 소프트웨어를 실시간으로 실행하는 차세대 로봇용 하드웨어에는 차세대 로봇용 화상인식 카메라에 탑재하는 화상처리 LSI와 내비게이션용인 그래픽 기능과 다양한 주변기능을 통합한 SoC(System on a Chip)가 있다.
○ 차세대 로봇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여러 센서들 중 시각센서는 로봇 지각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로봇 시장의 확대와 함께 이러한 시각센서를 기반으로 인간과 로봇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와 연구소를 중심으로 대상물의 3차원 거리 영상정보를 함께 얻을 수 있는 스테레오 비전 처리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로보틱스(robotics)에 있어서는 병렬성이 높고 시스템 LSI화함으로서 고속화가 기대되는 분야가 많으며 시각 신호는 2차원의 시계열 신호로서 그 정보량은 대단히 크다. 더욱이 로보틱스에 있어서는 실시간의 화상처리가 요구된다. 화상처리는 일반적으로 병렬성이 높으며 시스템 LSI화에 의한 고속화가 기대된다.
○ 앞으로 화상인식과 검출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제스처 인식기술 등과 Ubiquitous computing, Wearable computing, Smart environment 등과 같은 정보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지털 화상문화의 발전이 로봇산업, 의료기기 및 후생복지 산업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저자
- Manabu Nakao, Naoyuki Sawas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27(2)
- 잡지명
- 日本ロボット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30~134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