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 분야의 아카데믹 로드맵 총괄

전문가 제언
○ 아카데믹 로드맵은 기술개발의 전략적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핵심기술의 파악을 통하여 선택과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및 산업계 기술전략 수립의 지침을 제시한다. 또한, 기술개발 투자를 결정할 때 안내지도 역할을 하여 위험요소를 경감시키며, 해당분야의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비전을 공유하고 중요기술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로봇 분야의 아카데믹 로드맵은 일본 경제산업성의 위탁을 받아 일본 로봇학회가 일본 인간공학회, 일본 지능학회와 제휴하여 미래의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여기서의 4대 기본방침은 “로봇의 미래 이미지”, “로봇의 역사와 미래”, “과거 50년과 미래 50년 총 100년간을 나타내는 그림의 작성”, 그리고 “로봇 도전 30”으로 구성되어 있다.

○ 미래지향적인 로봇 활용사회의 이미지 면에서 사이보그란 인간과 기계 간의 통신을 뜻하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체를 의미하는 오가니즘(organism)의 합성어로 인공 복합 생명체라는 뜻이다. 영화 터미네이터와 인공지능 면에서 나오는 인조인간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흔히 미래사회의 암울한 면을 상징하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 일본 Tokyo 대학의 Fujimoto 교수는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일본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부가가치 생산성의 향상이 중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일본에서 이노베이션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고객에게 도달하는 부가가치의 흐름을 착실하게 만들어 가는 제조현장의 이노베이션론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IT 인프라와 IT 기기분야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빠른 추진력의 문화적 성격 등은 개인용 서비스 로봇 산업 발전의 동력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IT/바이오 산업 이후 로봇 산업을 차세대 유망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향후 자동차 산업 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거대시장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로봇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Tomomasa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8
권(호)
26(7)
잡지명
日本ロボッ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722~727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