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체 건강을 위한 공기조화 시스템과 실내 공기질에 관한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 현재는 생활표준의 향상으로 공기조화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조화 시스템과 관련하여 실내 공기질 및 인간의 건강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 이 논문에서 최근의 연구는 인간의 건강에 대한 공기조화 시스템과 공기질의 제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재 상태에서의 문제점을 요약하고, 앞으로 건강한 실내 공기 환경에 대하여 공기조화 시스템과 실내 공기질의 제어에 관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공기조화 분야의 국내외 연구 동향으로는 열 유동, 열전달, 냉동, 건축설비 그리고 건축 환경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축 환경 분야에서 실내 공기질, 열 환경 및 부하계산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실내의 공기 질 분야에서는 환기장치와 연동한 변화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이 분야의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거용 건물의 벽지/천정지 및 온돌 마감에 대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의 시간별 생성률을 이용하여 시공단계에서의 환기계획, 공종별 공정계획, 마감 재료의 선정 등 실내 오염물질의 실내 농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제시한 연구와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환기장치의 가동특성에 따른 실내 공기질과의 상관관계 등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미생물 오염원의 저감 기술에 대하여는 멀티 존 모델을 이용한 오염원의 확산과 제거에 대한 해석 등이 있다. 그러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기체오염물질(CO, CO2, SO2, NOx, O3) 등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내 공기의 정화에서 여과기재료, 흡착 재료 등의 개발과 광촉매 산화, 공기의 음이온과 비열적 플라스마(NTP) 등의 사용 및 연구가 요망된다.
저자
B.F. Yu, Z.B. Hu, H.L. Yong, Q.X. Kong, Y.H. Li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9
권(호)
32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20
분석자
장*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