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동맥경화증에서 내피 원세포 치료: 양날의 칼?
- 전문가 제언
-
○ 죽상동맥경화증은 저변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혈관 내막의 파손에 의해서 플라크의 파열에 의해서 야기되는 치사율이 높은 난치병의 하나다. 이 질병의 저변 원인으로는 고지질, 고혈압, 당뇨, 흡연 그리고 육체적 불활동 등이다. 주로 혈관 내피의 손상에 의해서 플라크가 파열되어 경화증을 유발하게 된다.
○ 본 분석물은 죽상동맥경화증에서의 endothelial progenitor cell(EPC)을 사용한 치료에 관하여 그 기작, 치료 방법, 치료의 시작과 기간, 치료로부터 오는 위험성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으며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문제점을 논하고 있다.
○ 손상된 혈관을 보수하는 데에는 EPC들이 관계한다. EPC의 활성에는 물리적 훈련, 여성 호르몬, 적혈구 모세포, GM-CSF의 생성 촉진, 그리고 영양 지원 등에 의해서 그 생성이 촉진된다.
○ 그러나 EPC 생성에 대한 자세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연구자들에 따라서 그 실험 방법에 차이가 많아 보고자에 따른 수치의 비교가 어렵다. EPC의 측정을 위한 통일된 감수성 높은 시험 방법이 수립되어야 한다.
○ EPC를 사용한 치료 방법이 아직 완전히 수립되지 않고 있다. 이는 조기 EPC의 사용과 후기 EPC의 사용 기작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사용 수, 사용 시기 및 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경화증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적합한 치료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이와 함께 고혈압, 저활동, 흡연 등 죽상동맥경화증의 저변 원인이 될 수 있는 질병 및 생활 습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광범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이들에 대한 홍보와 교육으로 그 발생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죽상동맥경화증의 병리에 관하여 아직 많은 부분이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 질병에 대한 기작의 규명과 EPC 생산 촉진 물질들에 대한 대량 생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Pengxia Li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2)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3~93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