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킨슨병에 세포대체치료

전문가 제언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퇴행성신경질환으로 흑색질에서 선조체로 이어지는 도파민 생성 뉴런의 변성이 중요한 특징으로 본다. 약물치료는 도파민을 대체하는 것이 병의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있지만 이것은 단지 증상에 대한 처방으로 장기적인 사용은 부작용을 낳는다. 따라서 파킨슨병의 치료를 위해 변성하는 흑질 선조체의 도파민생성 네트워크를 세포를 이용해서 대체하는 전략이 고려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세포가 시도되고 있다.

○ 그동안 세포이식에 대한 실험은 동물모델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졌으며, 마우스와 사람의 경우 태아 중간뇌(fetal ventral mesencephalic) 조직 이식이 일부 성공적인 성과를 낳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다른 세포를 이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동안 이식을 위한 시도는 자가, 동종, 이종의 세포이식을 환자에 적용한 경우도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 환자의 기능적인 개선은 보이고 있으나 치유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그 세포의 소스마다 특성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신경질환의 하나로 60세 이상에서 1~2%가 걸리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만 50만 이상으로 추정되며 나라마다 노령인구의 증가로 서구는 물론 개발도상국에서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PD의 원인은 대체로 노화하는 뇌에 유전적인 감수성인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로 유전적인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가장 중요한 인자가 나이로 생각된다.

○ 퇴행성 신경질환에서 최근에는 성체줄기세포를 포함해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이식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특히 배아줄기세포를 대신할 수 있는 유도된 만능세포에 대한 연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이러한 세포의 조작과 안전성, 효력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실험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저자
Ruwani Wijeyekoon, Roger A. Bark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1792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Cel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88~702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