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젤엔진 대체연료로서 바이오디젤

전문가 제언

○ 앞으로 50년 이내 발생될 온실가스 공해로 인한 지구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세계 오일 감산 프로젝트 시행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미래 수송 부문의 대체연료가 될 후보물질은 석유베이스 연료를 장기간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이면서 환경적으로 낮은 카본 공해와 차량운행에 경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 화석연료자원 감소와 석유 생산제품의 가격상승은 바이오연료 사용 확장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미국은 10년 동안에 바이오에너지 사용량이 3배 증가되었고, 유럽에서는 2010년까지 수송연료 시장에서 최소 약 5.75%를 새로운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고자 하는 목표를 세웠다.

○ 일반적으로 식물오일은 97%의 트리글리세리드와 3%의 디 혹은 모노 글리세리드 및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촉매 존재 하에서 식물오일에 있는 모든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제거하는 프로세스를 트랜스에스테르화라 하며, 식물오일은 NaOH/KOH 촉매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반응하여 에스테르화한다.

○ Barnwal, Vellguth, Senthilkumar 등과 같은 많은 연구자들은 CO, CO2 및 UBHC 공해는 바이오디젤 및 이의 배합으로 감소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바이오디젤이 구조상 산소를 갖고 있어 연료의 모든 것을 연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NOx 공해는 바이오디젤과 그의 혼합으로 약간 증가한다고 하였다.

○ 이 글에서 바이오디젤(B100)의 메틸에스테르는 어떠한 개량도 없이 디젤엔진에 직접 사용할 수 있었다. 바이오디젤에 대한 열적인 브레이크 효율은 B20보다 약간 증가되어 있었으나, 브레이크 에너지 소비는 B20에 비교하여 약간 감소하였다. 그리고 CO, CO2 및 HC PAH 공해는 감소되지만 NOx 공해는 약간 증가되었다. 또한 광물성 디젤에 바이오디젤을 약간 첨가하는 것은 농업용 엔진에 대해 연료소비 증가를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전략이 된다.
저자
A. Murugesan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53~662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