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의 핵 보안의 현상과 동향

전문가 제언
○ 세계적으로 여러 요인에 의한 테러리즘의 발생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9.11 미국 동시다발 테러사건을 계기로 원자력 시설에 대한 테러방지 대책이 화제가 되고 있다. 여기서는 핵연료를 포함한 모든 방사성 물질에 관한 위협이라는 관점에서 “핵 보안(Nuclear Security)”의 국제적인 현상과 향후의 동향을 해설하고 있다.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은 핵무기 비확산 조약(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하에서 실시되고 있는 현상이다. 핵물질의 국제수송 시의 핵물질 및 국제간의 범죄 취급을 목적으로 한 “핵물질의 방호에 관한 조약(PP조약)이 1987년 2월에 발효되었다. 핵물질 방호(PP: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Material) 조약의 목적은 ①평화이용 핵물질의 국제수송에 관하여 체약국은 조약의 부속서에 규정된 방호조치를 취할 것, ②핵물질에 대한 범죄를 정하고 체약국이 재판권을 설정, 용의자의 인도 및 검찰당국에 부탁하도록 하였다.

○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핵 보안 자문그룹(AdSec)에서는 “핵 보안”을 “핵물질 기타의 방사성 물질 및 관련시설에서의 도난, 방해 파괴행위, 불법 접근, 불법 이전 기타 불법행위의 방지, 탐지 및 대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한국 정부는 강화된 국제지침과 개정된 “핵물질의 물리적 방호에 관한 협약”의 내용을 반영한 “원자력 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을 제정·발효(2004년 2월16일)함으로써 국가의 물리적 방호체제의 정립을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법 제정 취지는 원자력 사업자에게 내·외부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물리적 방호체제를 구축해 원자력 시설을 방호하고,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 원자력 관계 전문가들이 핵 비확산은 물론이고, 보장조치나 핵 보안이라는 현재까지의 기술적인 연구대상이었던 테마에 대한 인식이 선진국에 비해서 너무나 낮은 것이 우려된다.
저자
Naaakagome, 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51(6)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8~472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