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실용화를 향한 과제

전문가 제언
○ 연료전지는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산업용, 가정용의 중/대형 에너지 대체원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휴대전화기, 노트북 PC 등에 필요한 소형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연료전지 시장의 고유 영역이 존재하기 보다는 다양한 기술과 제품 간의 경쟁으로 인하여 기술경쟁이 매우 심할 것이며, 기술주기도 짧게 변할 것이다. 전지기술 및 용도의 융합화/복합화 현상도 급속히 진행될 것이다.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환경가스와 온실가스를 최소화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SOFC는 과도기 연료인 탄화수소와 연료인 수소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변환 수단인 것이다. 또한 SOFC는 연료가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할 때 나오는 연소열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 이 문헌은 SOFC 스택·모듈의 내구성·신뢰성의 일부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각 업체가 개발하고 있는 스택·시스템은 특유의 열화요인이 있고 이를 개선하는 개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열화(劣化)가 나타나는 것은 오랜 시간이 요하기 때문에 열화요인이나 기구의 해명, 개선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신뢰성·내구성 향상에는 하나의 스택 제조회사만으로 해결이 어렵고 여러 회사의 협력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주로 불순물의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수소연료전지, 가스·석탄액화 청정연료 및 에너지저장 등이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육성될 계획이다. 근래에 KIST가 제반 기술에 대하여 연구를 하고 있으며, KIER도 소형발전 시스템 개발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셀 제조의 국산화, 전해질/전극 재료의 개발이 계속되어야 한다. 제조업체도 관심을 가지고 시작품 등의 개발에 노력하기를 바라며 SOFC 관련 연구인들의 연구가 계속되길 바란다.
저자
Teruhisa Horit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44(4)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67~272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