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jixerox의 수지 난연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인공적 재해와 자연재해 모두를 포함해서 교통사고 다음으로 인명 손실이 큰 것이 화재이다. 그 때문에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플라스틱 재료는 화재 예방을 위해서 고도의 난연재료로 처리된다. 화재로부터 인명을 지키기 위한 난연수지의 요구단계에서 한층 더 나아가 그 난연수지의 환경오염까지 고려하게 되었다.
○ 복사기와 프린터의 수지재료는 안전면에서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수지재료는 고도의 난연성 기능과 기계적 특성을 갖고 또 재자원화가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Fujixerox사는 기기에 사용되는 난연수지의 재이용과 재자원화를 촉진하고 바이오매스 재료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지구환경의 안전성에 공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Fujixerox사에서 새로운 상품과 동등한 품질을 갖는 재생 ABS 수지 소재를 개발해 상품에 도입해 왔다. 외장커버에 인계 난연제를 배합한 PC 합금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서로 다른 조성을 갖는 회수자원을 활용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사용 재료와 동등한 물성을 갖는 PC 합금계 재생수지를 개발하였다.
○ 지구온난화의 주요인이라고 지적되고 있는 CO2 배출과 석유자원 고갈의 문제 때문에 석유자원에서 유래한 수지재료 대신에 식물에서 온 바이오매스 수지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Fujixerox사에서도 난연 ABS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수지재료를 폴리젖산(PLA)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바이오매스 수지재료, TCA-8070MN가 개발되어 Fujixerox의 컬러 디지털 복합기 등의 가동부품에 실용화되었다.
○ 비할로겐과 비인으로 환경 부담이 적으면서 사무기기 재료로 사용 가능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고성능 난연수지 재료가 설계되었다. 난연성과 기계특성의 양립이 최대의 과제이다. 종래에는 내충격제와 난연제를 따로따로 첨가해서 균형 설계를 했지만 두 과제의 양립은 어려웠다. 가지형태의 고분자체에 난연성을 동시에 가진 첨가제를 가해주면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Okoshi, M, Yao, K, Maeyama, 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38(6)
- 잡지명
- ファインケミカ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24
- 분석자
- 허*성
- 분석물
-